슬라이드 형식 선택 스티브 잡스 이후로 큼지막한 이미지에 단순한 글만 넣는 형태의 슬라이드 디자인이 엄청난 유행을 끌었습니다. 하지만, 이 방식을 직장에서나 학교 발표에서 시도했다가 되레 좋지 않은 평가만 받은 경험 역시 가지고 계신 분들이 많으실 텐데요. 시중의 프리젠테이션 서적은 무작정 슬라이드의 글을 줄이라고만 하고, 그렇게 하면 나는 스티브잡스처럼 찬사 대신 지탄만 받고……. 방법은...
기계학습의 여러 분야 중에서도 자연언어 처리는 가장 흥미진진하고 응용분야가 넓다. 하지만 이 분야의 연구 진행은 토론토 대학의 교수로 재직 중이며 구글의 인공지능 분야의 거장 중의 한명인 Geoff Hinton이 reddit에서 진행된 질의 답변 이벤트에서 지적한 바와 같이 반세기 가까이 벨 연구에서 진행된 연구들의 재탕에 지나지 않는 답보 상태에 있는 실정이다....
애플의 Cloud/BD 전략 - iOS 7의 주요 서비스지금부터는 클라우드-슈퍼(양자)컴퓨팅-빅 데이터를 구축하고 있는 사례를 연구 해보자. 우선 애플의 iOS7베이스의 iPhone 5S의 주요 서비스를 보자. 이 주요 서비스들은 모두 클라우드(Cloud)와 빅 데이터(Big Data)와 관계있다는 것을 잊어서는 안 된다. 고객들의 모든 데이터가 클라우드의 빅 데이터에 백업되고, 데이터 마이닝을 통해 고객들에게 서비스 되고...
기술은 근본적으로 우리사회를 변화시키는 하나의 수단이다. 그동안의 역사를 살펴보면 기술은 우리의 삶을 편리하게 만들기도 하였지만, 많은 사람들을 불행하게 만들기도 한다. 이와 같은 기술의 양면성 사례로서 인류는 최초로 불을 사용하게 되면서 부터 인간의 삶속에는 이러한 양면적 딜레마가 시작되었는지도 모른다. 특히, 산업혁명이후 발전된 기계기술은 전쟁을 통해 무기기술로 발전되었고 이후에는 교통 및...
1969년 7월 20일, 아폴로 11호가 인류 역사상 처음으로 지구 밖 천체에 내려섰다. 당시 NASA의 아폴로 계획은 20세기에서 가장 도전적인 과학기술 성과 중 하나였다. 아폴로 계획은 당시의 과학 기술을 집대성한 첨단  프로젝트였다. 지금도 사용되는 4가지 혁신 기술은 우리의 삶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고 있다. 1. 정수처리 시스템▲캐어프리 클리어워터사는 NASA 기술을 사용해 구리와 은...
2005년 5월 23일 미국 CNN은 영국 BT(British Telecom)사의 미래기획단(Futurology Unit)의 단장이며 미래학자(Futurologist)인 Ian Pearson의 말을 인용하여 2050년경엔 두뇌(Brain)를 컴퓨터로 다운하고 컴퓨터의 프로그램을 두뇌로 다운 받는 사이버-불멸(Cyber-Immortality) 시대로 진입할 것으로 보도 했다.영화 ‘Matrix’가 현실로 등장하는 것이다. 이때가 되면 두뇌를 다운 받는 기술(Brain-Downloading Technology)은 전적으로 부유층의 전유물이 될 것이지만, 가난한 사람들도...
요즘 인공지능에 대한 대중들의 관심이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많은 글로벌 기업들은 인공지능에 대한 생태계 구축 및 관련 된 연구와 특허도 계속 늘어나고 있다.그 중에서도 최근의 흥미로운 이슈로 구글 자회사 딥마인드가 개발한 바둑프로그램 ‘알파고(AlphGo)’가 유럽 바둑챔피언에 오른 중국 출신 프로기사 판후이(2단)을 이겼고, 올해 3월 서울에서 세계 바둑의 최정상인 한국의 이세돌...
4차산업혁명으로 대두되는 인공지능과 로봇, 디지털 지능정보기술 등의 발달은 분명 안전함과 편리함, 더 나은 생활을 기대하게 만든다. 하지만 또 다른 이면에는 기술의 악용, 일자리의 위협, 인간의 존재가치 상실, 예상하지 못했던 위험요소의 등장 등과 같은 불안함과 두려움이 있는 것도 사실이다. 그런 점에서 4차 산업혁명을 두고 ‘기술’이 아닌 ‘사람’이 먼저다 라는 슬로건이...
정보통신기술의 필요성은 구태여 설명 안 해도 될 것이다. 편리성을 비롯해서 효율성과 정확성, 신속성 그리고 여러 물리적 한계의 극복성 등 이루 열거할 수 없는 수많은 장점들이 우리 인간의 삶 전반에 많은 변화와 이점을 주고 있다.그러나 모든 것이 장점만 있는 것이 아니라 부작용이 있는바 역시 이루열거 할 수 없을 만큼 다양한...
정보통신정책연구원의 임금 미지급 이슈가 언론에 소개 되고 나서 관련자들 간의 논의가 활발하다. '정부 중앙부처 공무원들이 몹쓸 사람이다' vs. '국책 연구기관이 원인제공을 했다'와 같은 논의에서부터, '구조적인 문제이다' vs. '존재이유가 없다' 등의 논란도 다루어지고 있다.개인적 의견을 먼저 이야기 하자면, '국책연구기관의 무용론'에 힘을 싣고 싶다. 국가의 정책이나 시책을 연구하는 기관이 국책연구기관인데, 이들...
최근 인터넷 개인방송 규제 관련 법률안이 발의됐다. 지난 주 열린 미래창조과학통신위원회 국정감사에서 1인 방송 음란물의 무분별한 유통 문제가 제기되자, 방송통신위원회는 "음란물 유통과 관련하여 총체적 규제방안을 연구 하겠다"고 밝혔다.이는 인터넷방송에 대한 비판 여론도 거세지고 있는데 따른 결과로 여겨진다. 또한 국정감사에서 인터넷방송 규제가 언급된 것도 새로운 일은 아니다. 인터넷 환경이 대중화되면서...
식품 포장지에 스캐너로 가격과 정보를 판독할 수 있는 ‘바코드(Barcode)’를 발명하고 널리 보급한 조지 라우어(George Laurer)가 12월 5일(현지시각), 노스캐롤라이나 웬델의 집에서 94세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바코드는 미국 필라델피아 드렉셀 공과대학의 대학원생이었던 버나드 실버와 그의 친구 노먼 우드랜드가 식료품 매장 관리를 위해 1948년 고안했다. 발명 특허는 1952년에 받았다.바코드가 식품봉지 겉면에 쓰이기 시작한...